본문 바로가기
728x90

마이코프2

차이콥스키 "사계" 중 4월 '갈란투스' 차이콥스키/차이코프스키 사계 중 4월 Апрель. Подснежник 마이코프가 1857년에 쓴 이라는 시 전체를 사용 하늘색, 정결한 갈란투스 - 꽃 그 옆엔 투명한 마지막 눈덩이 지나간 고통의 마지막 눈물 그리고 다른 행복의 첫 희망 풋풋한 4월이 시작되었다. 봄의 중간인 4월은 어느 정도 우리가 봄에 익숙해졌다고 느낄 수 있는 시점이라 생각된다. 그런데 이것도 자기가 겪은 ‘계절감’인 것 같다. 한국의 봄과 러시아의 봄은 많이 다르다. 아니 아예 다른 이야기라 할 수 있다. 차이콥스키의 4월은 ‘설강화’라고도 하는 ‘갈란투스snowdrop’다. 이 꽃은 겨울에서 이른 봄에 걸쳐 하얀색 꽃이 피어서 눈이 녹자마자 보인다고 한다. 어쩌면 겨울을 이겨내고 봄을 맞이하는 첫 꽃이라고도 할 수 있다. 이렇.. 2021. 4. 28.
차이콥스키 "사계" 3월 '종달새의 노래' 차이콥스키/차이코프스키 사계 중 3월 Март. Песнь жаворонка 아폴론 마이코프가 1857년에 쓴 시를 인용 꽃들이 흐드러진 들판, 하늘에는 빛의 물결이 흐르고, 봄의 종달새의 노래는 푸른 심연에 가득하다 봄 Весна 베스나... '봄'은 푸르른 새싹이 올라오고, 우리나라에서는 새 학기가 시작되는, 왠지 ‘시작’이란 이미지가 강한, 그런 단어인 것 같다. 새로운, 싱그러움, 이런 단어들이 연상되는 것이 ‘봄’이 아닐까? 그런데 차이콥스키의 봄은 그렇지 않은듯 싶다. 의 3월은 ‘종달새의 노래’인데 들으면 ‘이게 무슨 봄이야? 봄이기엔 너무 우울, 우중충 한 거 아니야?’라는 생각이 든다. 분명 제목이 ‘종달새’ 면 봄을 쓴 게 맞는데…. 러시아에서 종달새는 봄을 의미한다. 그래서 ‘종달새의.. 2021. 3. 28.
728x90